박종현 행정안전부 사회재난대응정책관이 이태원 압사 참사와 관련한 용어 통일 공문에 대해 해명에 나섰지만 오히려 더 거센 비난을 받고 있다.
앞서 행안부는 전국 17개 시, 도에 공문을 보내 이번 이태원 압사 참사 공식 명칭을 ‘이태원 사고 사망자’로, 참사 대신 사고, 희생자 대신 사망자나 부상자, 피해자 대신 부상자로 표현하라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야권에서는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 아니냐는 강력한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 책임 회피 지적에 협업 때문에 통일해야 한다고 반박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
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박 정책관은 “이태원 사고 때 사고, 참사, 압사 등 여러가지 용어가 혼재돼서 사용되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재난관련 용어는 정부 부처나 지자체 등 굉장히 많은 기관들이 협업하기 때문에 통일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 중 ‘사망’ 용어에 대해서는 “최대한 중립적으로 쓰는 그런 일종의 내규가 있다”며 “정부가 책임을 회피하려고 했던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했다.
이태원 참사라고 하면 관광객 안 와 문제
이태원 음식 거리
박 정책관은 “그래서 무엇으로 통일할까 논의를 했는데 이태원은 외국인도 많이 찾는 굉장히 유명한 관광지”라며 “지명 뒤에 참사, 압사라는 용어를 쓰면 그 지역 이미지에 부정적인 이미지를 각인시켜 준다. 그로 인한 피해는 거기서 생계를 유지하는 자영업자에게 갈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세월호는 지명이 없지 않았나. 근데 지명을 빼고 할로윈 압사, 할로윈 사고 하니 안 맞는 것 같았다”면서 “압사, 참사라고 하면 ‘그곳은 위험한 곳인가보다’라고 해서 관광객들이 가길 꺼려하는 효과를 줄 수 있기 대문에 저희가 가능하면 이태원 사고라고 하자고 합의를 봤다”고 해명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희생자라는 용어를 썼다고 해서 책임을 추궁 당하지 않고 사망자라는 표현을 쓰게 되면 책임을 안 지고 이런 것은 아니지 않나”라며 “그런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정부 책임 회피론에 대해 부정했다.
콘텐츠 저작권자 ⓒ지식의 정석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사진 = 온라인 커뮤니티, 연합뉴스